EU 운송업계, EU집행위의 친환경 차량 도입 정책에 대한 우려 표명
- 한국무역협회 브뤼셀지부/ KBA Europe 제공
EU집행위는 역내 친환경 차량 도입 정책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운송업계는 별도의 재정지원 없는 규제 강화가 심각한 경제적 부담을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
EU그린딜의 일환으로 ‘25년 말부터 시행되는 법인차량 탈탄소화 정책에 따라, 대형 상용차의 CO2 감축 목표는 ’30년까지 45%, ‘35년까지 65%, ’40년까지 90%로 설정
스카니아에 따르면, 동 목표치를 달성을 위해서는 현재 3.5%에 불과한 전기 트럭의 시장 점유율이 ’30년까지 35%에 도달해야 함
이에 운송업계는 고가의 친환경 차량 구매를 강제하는 동 정책이 영세 운송업체에게 재정적 부담을 초래할 수 있음을 우려하였으며,
친환경 차량 구매 촉진을 위한 EU 차원의 재정적 지원 및 인센티브가 필요함을 강조했으나, 집행위는 동 요구에 대한 구체적 대응방안을 제시하지 않고 있으며 향후 고려 가능성도 불투명한 상황
또한 일부 기업들이 최저가의 친환경 차량만을 구매하여 실제 운행 없이 감축 목표를 충족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동 정책의 허점도 지적되고 있음
또한 재정지원이 부재한 동 정책이 EU산 친환경 차량의 수요 증가를 보장하지 않으며, 오히려 아시아 차량 제조업체들의 EU시장 진출을 지원한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음
중국은 배터리 기술력, 원자재 접근성, 정부의 집중 지원을 통해 경쟁력 있는 친환경 차량 공급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EU 운송업계는 동 정책의 대안으로 저가 중국산 전기 트럭에 주목하고 있음
중국 전기트럭 제조사 Windrose는 ’25년 하반기 EU 시장 진출, ‘27년 앤트워프 공장 생산 개시를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미 덴마크·벨기에·프랑스 등의 고객사로부터 주문을 수주한 상황
중국 중장비 제조사 SANY는 ’24년 가을 영국 Alltrucks와의 계약체결로 EU 내 유지보수 체계를 갖춤으로써 운영 신뢰도를 제고하는 등 중국 기업들은 EU 시장 진출에 적극적
국제도로운송연합(IRTU)은 동 정책이 시행되더라도 EU산 상용차량 판매 증가에 대한 보장이 없으며, EU 운송업체들의 차량 수요가 중국산 등 경쟁력 있는 모델로 대거 이동할 것임을 경고